보고 싶은 것만 보고, 보고 싶은 것만 듣는다는 것은 생각과 믿음이 굳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즉 한 번 굳어진 생각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굳어진 생각에 따라서 바라보고,
굳어진 생각에 따라서 듣게 되는 것입니다.
미국의 심리학자 크리스토퍼 차브리스와 대니얼 사이먼스가 인간의 주의력과 관련해 실행한 보이지 않는 고릴라 실험에서 인간의 주의력과 인지능력에 대한 우리의 고정관념과 상식을 뒤엎는 결과를 찾아냈습니다.
이 실험 결과는 심리학 분야를 넘어 다양한 분야에 반향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던 실험 결과를 통해 우리의 불완전한 인지능력을 6가지 착각의 범주로 분류하여 여러가지 사례와 함께 우리의 직관적 결함과 이에 원인한 일상의 착각이 우리 생활에 직접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이르기까지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일상의 착각을 통해 때로는 상상도 못할 엄청난 결과를 가져오는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경고를 통해 우리의 직관에 대한 믿음에 경종을 울리고 있습니다.
보이지 않는 고릴라 실험은 1999년 미국의 하버드대에서 실험을 위해 만든 영상으로 동영상 속에 검은 셔츠를 입은 3명, 흰색셔츠를 입은 3명이 각각 팀을 이루고 농구공 2개로 서로 같은 색의 옷을 입은 선수끼리 패스를 합니다.
6명은 서로 다양한 방법으로 뒤섞여 패스를 하는데 이 동영상을 실험 참가자들에게 보여주며 흰 셔츠를 입은 팀의 패스 횟수를 세어볼 것을 요구합니다.
동영상 속에는 흰색과 검은색 티셔츠를 입은 선수들이 서로에게 패스를 하는 동안 붉은색 고릴라 탈을 쓴 사람이 천천히 등장해 선수들 사이를 지나 퇴장하는 장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동영상이 끝난 후 실험 참가자들에게 동영상 속에서 고릴라를 보았는지에 대한 질문을 하는데, 이때 참가자들의 50%는 고릴라의 등장 사실을 알지 못합니다.
실험 참가자들 스스로도 믿지 못한 이 놀라운 결과는 패스횟수를 세는데 집중하느라 예외상황을 인지하지 못한다는 것인데 사람의 인지력이 의도한대로 보려고 하는 성향이 있으며 이로 인한 인지부주의는 일상에서 심각한 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결론을 얻어냈습니다.
이 실험을 근거로 인지력의 착각 현상을 주의력, 기억력, 자신감, 지식, 원인, 잠재력 의 6가지 범주로 분류하는 학자들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주의력 착각입니다.
예상치 못한 상황은 인식하지 못하는 시각적인지의 위험성을 강조합니다.
두 번째는 기억력 착각입니다.
세 번째는 자신감 착각입니다.
기억력과 연결된 자신감의 착각이 가져올 수도 있는 위험성을 경고합니다.
네 번째는 지식 착각입니다.
리온로젠블리트와 프랭크케일 교수가 예일대 박사과정 연구로 진행했던 호기심 많은 꼬마 게임이라고 명명하였던 실험에서 사람들은 단순한 그건 왜요? 라는 질문에 두 단계도 넘기지 못하는 자신들의 지식결함을 드러냈습니다.
사람들은 스스로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이를 설명해보라는 질문을 받기 전까지는 자신의 지식 결함을 깨닫지 못한다고 합니다.
변기의 작동 원리는?
공부를 해도 시험에 계속 떨어지는 이유는?
자물쇠의 작동 원리는?
이 비는 어디에서 오는가?
하늘이 파란이유는?
등과 같은 평범한 질문에 스스로 자신의 지식결함을 발견하게 됩니다.
지식에 대한 착각은 지식을 점검할 때조차 실수를 저지를 정도이고 가진 정보에만 초점을 맞추고 빠진 다른 요소들은 무시한 채 모든 걸 다 알고 있다고 착각하는 등 물리적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넘어 대규모프로젝트, 문제해결, 임무수행의 상황에도 적용됩니다.
지식착각이 계속되는 이유는 자신감 착각에 빠진 전문가들을 사람들이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다섯 번째는 원인착각입니다.
여섯 번째는 잠재력 착각입니다.
역설적으로 직관에 대한 환상이 어떤 모습으로 우리의 일상에서 존재하고, 영향을 주는지, 첫인상의 오류, 심사숙고한 결정의 결과가 직관보다 나쁜 결과로 이어지는 경우, 기술력에 의지한 착각오류 줄이기에 회의적인 입장을 내세우며 보이지 않는 고릴라를 찾기 위해서 우리의 직관이 가지는 착각오류를 염두에 두고 그 정당성에 대해 고민해봐야 합니다.
보이지 않는 고릴라 실험은 흔히 인간은 동시에 여러 일을 처리할 수 있다고 착각하지만 우리의 뇌는 멀티태스킹을 할 수 없다는 것이 이 실험의 결론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무주의 맹시라고도 합니다.
'제왕회관 휴게실 > 세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인의 질투심은 나라도 망한다 (0) | 2020.08.08 |
---|---|
노자규의 하얀 카네이션 (0) | 2020.08.05 |
바람 속의 먼지 같은 존재, 유시민 (0) | 2020.08.03 |
거북선에 1000명이 승선 (0) | 2020.08.01 |
직위해제란 무엇인가? (0) | 2020.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