앎은 속일 수 있지만 느낌은 속일 수 없다.
가슴으로 느낀 감정이 머리로 올라가면서 희석되고 탈색되며 변색된다.
우리는 아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느낌을 통해서 이해한다.
우리는 아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느낌을 통해서 이해한다.
가슴으로 느낀 것을 머리가 모두 이해할 수 없다.
머리는 생각하지만 그것은 마음으로 느끼는 빙산의 일각을 반영할 뿐이다.
느낌보다 생각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하지만 인간개체와 사회에 대한 이해는 분리되어야 한다.
느낌보다 생각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하지만 인간개체와 사회에 대한 이해는 분리되어야 한다.
그래도 둘 다에게서 기반이 되는 것은 직관으로 인식되는 느낌일 것이다.
사회에 대한 이해는 일정부분 머리가 필요하지만 인간개체에 대한 이해는 마음이 필요하며 직관과 마음으로 이해하는 것이 느낌이다.
가끔씩 자신은 돌아보지 않고 현학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실체도 제대로 인식못하는 현학적이고 극단적 비교의 흑백논리의 단순프레임으로 대단한 논리와 고상한 가치인양 스스로 자가발전하는 비난으로 자뻑과 자기만족 하는 사람들을 볼 때가 있다.
마치 자기가 가치면에서 우월하고 의식면에서 도덕적이라는 듯이 태도논리의 형식주의로 옭아맨다.
사회에 대한 이해는 일정부분 머리가 필요하지만 인간개체에 대한 이해는 마음이 필요하며 직관과 마음으로 이해하는 것이 느낌이다.
가끔씩 자신은 돌아보지 않고 현학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실체도 제대로 인식못하는 현학적이고 극단적 비교의 흑백논리의 단순프레임으로 대단한 논리와 고상한 가치인양 스스로 자가발전하는 비난으로 자뻑과 자기만족 하는 사람들을 볼 때가 있다.
마치 자기가 가치면에서 우월하고 의식면에서 도덕적이라는 듯이 태도논리의 형식주의로 옭아맨다.
어쩌면 속내는 더 추한 위선과 가식의 변주곡을 울리면서도 말이다.
솔직해지자.
솔직해지자.
솔직하지 않다면 실체라도 담보해서 말하자.
논리나 증거가 불분명한 감정투사의 그것도 저열한 단어들만 골라 비난하는 그 고상함의 추한 표상,
실체없는 저열한 형용어로 비난할때 그러한 인과의 추론의 밑장 몇개만 부수면 와르르 무너진다.
논리나 증거가 불분명한 감정투사의 그것도 저열한 단어들만 골라 비난하는 그 고상함의 추한 표상,
실체없는 저열한 형용어로 비난할때 그러한 인과의 추론의 밑장 몇개만 부수면 와르르 무너진다.
준비된 몇개의 잘못된 딜레마, 그리고 죄수의 딜레마,흑백의 프레임이 그가 가진 밑천의 전부이기 때문이다.
단지 피장파장, 죄수의 딜레마, 의도확대, 인신공격, 잘못된 유추의 입방정 일뿐이다
여기 저기 SNS에 진정하게 순수한 자기 인식의 피를 찍어 쓰는 글이 몇개나 될까?
단지 피장파장, 죄수의 딜레마, 의도확대, 인신공격, 잘못된 유추의 입방정 일뿐이다
여기 저기 SNS에 진정하게 순수한 자기 인식의 피를 찍어 쓰는 글이 몇개나 될까?
그리고 세상에 완전한 순수한 창작의 인식이 얼마정도 있을까?
정도의 차이이지 인식과 학습되고 재편된 편집이 대부분일거다.
선입관과 확증편향의 동질감을 형성하는 자기투사의 속물들에게 기댄 인식의 불공정과 왜곡, 감정과 정서를 교묘하게 이용하는 이러한 고상한척 하는 굴절과 고상함을 포장한 궤변의 논리들은 그 감정적 정서가 바뀌면 여지없이 무너질 궤변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즉 자기들만의 도그마적 정서에 기댄 논리는 그만큼 취약한 기반을 갖고 있을 뿐이다.
앎이란 이처럼 제한적이며 그러한 얄팍한 앎을 갖고 자뻑에 취한 사람들을 볼 때 느낌은 유쾌하기 보다는 불쾌할 뿐이다.
마음이 움직여야 감동이 오는거다.
자가발동기의 고상함과 진정성 아무리 돌려봐야 위선과 가식의 고상함의 헛스윙 그 밑천 금방드러나는 것이다.
비판할려면 제대로 하자.
스스로 돌아볼줄도 알고..
불광불급이라 했다.
불광불급이라 했다.
미치지 못하면 미칠 수 없는 것이다.
충고와 계몽은 얄팍한 머리로 하는 것이 아니라 진정성 있는 마음과 느낌으로 하는 것이다.
'제왕회관 휴게실 > 세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전세력이 유효한 이유 (0) | 2018.09.19 |
---|---|
유족에 10~100만원 지원···몰라서 못받는 '화장장려금' (0) | 2018.09.09 |
서던 리치: 소멸의 땅 (2018) Annihilation (0) | 2018.09.07 |
공자는 이상주의자이자 (0) | 2018.09.07 |
어느 택배기사님의 글 (0) | 2018.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