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왕회관 휴게실/삶 이야기

사무량심

by Ajan Master_Choi 2019. 10. 26.

붓다는 인간 마음의 가장 숭고한 상태를 산스크리트어로 "브라흐마비하라"라 했습니다.

숭고함이란 해탈의 경지에 도달해 인간의 선과 악을 넘어 자기 자신이 소멸되고 한없는 경외심이 넘치는 단계입니다.

숭고함의 의미는 '셀 수 없는/경계가 없는'입니다.

 

이것이 중국으로 넘어오면서 사무량심(四無量心), 

즉 다음과 같이 4가지 셀 수 없는 마음이 됩니다.

 

저는 이것을 사랑의 4단계라고 봅니다.

계단을 오를수록 더 어렵습니다.

 

자(慈)=마이트리(maitri, 산스크리트어)=헤세드(hesed, 히브리어)=아가페(agape)=참된 사랑

 

다른 사람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며, 사랑하는 마음입니다.

이 사랑의 초점은 상대방에게 있습니다.

만일 그 초점이 자신에게 있고 상대방을 무시한다면, 그것은 사랑이 아니라 폭력입니다.

 

자는 상대방이 진정으로 무엇을 바라는지, 무엇을 싫어하는지,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를 깊이 살펴 상대방에게 행복을 주려는 마음입니다.

한자 慈를 해석하면, 나와 상대방의 마음이 가물가물(玄)해져, 하나가 된 신비한 합일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마이트리, 자는 소극적으로 내가 타인을 내 자신처럼 친절하게 대하고, 사랑할 뿐만 아니라, 상대방이 행복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그 환경을 조성하는 작업까지 포함하는 큰마음입니다.

내가 가지고 있는 좋은 것을 기꺼이 주는 마음입니다.

상대방이 사랑하는 것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숨은 노력이자 배려이기도 합니다.

 

그것은 어머니가 아이를 향한 마음인 것이죠.

어머니는 아이가 한없이 행복하기를 기원합니다.

인류는 그 순수한 마음을 어머니로부터 부여받아 각자의 심연에 간직하고 있습니다.

교육이란 이 심성을 체계적으로 일깨우는 자극인 것입니다.

 

비(悲)=카루나(karuna)=compassion(연민)

 

비는 타인의 고통을 나의 고통으로 느낄 수 있는 마음입니다.

상대방이 당한 상처나 고통을 함께 슬퍼할 뿐만 아니라, 그의 슬픔과 고통을 덜어주거나 제거하려는 마음과 행동입니다.

 

우리가 미디어를 통해 비참한 상황에 처한 낯선 사람의 이야기를 들었을 때, 그를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생겨 자신도 모르게 눈물을 흘리는 것은 자연스런 현상입니다.

 

비는 그런 감정 이상입니다.

다른 사람의 고통을 나의 고통으로 동일하게 느껴, 그 상대방을 그 고통으로부터 탈출시키고 싶은 마음과 행동입니다.

컴페션(compassion)이라고 하는 이 말은 상대방의 고통(passion)을 기꺼이 함께(com) 나누려는 마음입니다.

 

카루나를 방해하는 가장 큰 적은 무관심입니다.

상대방의 걱정, 근심, 슬픔, 불행을 자신의 일처럼 느낄 수 있도록 상상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상대방의 고통을 함께 나누고 싶은 마음입니다.

 

- 상대방의 슬픔에 동참합니다.

- 상대방에게 불행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배려하고 조치를 취합니다.

- 사랑하는 사람이 슬픔에 빠져 있다면 그 사람 옆에 앉아 말없이 그의 슬픈 감정을 공유할 수 있어야 합니다.

 

희(喜)=무디타(mudita)

 

희는 상대방의 행복을 나의 행복처럼 느끼는 마음입니다.

상대방이 행복할 때, 진심으로 함께 기뻐해줄 수 있는 마음과 행동입니다.

상대방이 행복하고 기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노력입니다.

 

실제는 카루나보다 더 힘들 수 있습니다.

오죽하면,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말이 있겠습니까?

 

상대의 기쁨을 함께 기뻐하는 마음입니다.

그런 마음을 방해하는 것이 아상(我相, 나가 있는 마음)입니다.

어떤 사람이 자신의 가까운 친구, 동료 혹은 자신이 모르는 어떤 사람의 성공을 시기나 질투하지 않고, 진심으로 축하할 수 있다면, 무디타란 숭고한 감정을 소유한 사람입니다.

 

사(捨)=우펙샤(upeksha)

 

사는 버린다는 것으로, 마음에 집착이 없고 평온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낙무아이들 처럼 어떤 외부의 자극에도 평정심을 잃지 않고 수련하는 마음입니다.

자신의 주위에 일어난 유혹에 자신이 흔들리지 않고 자신이 가야할 목적지를 향해 천천히 정진하는 의연함과 자신감입니다.

 

시위를 떠난 화살처럼, 되돌아보지 않고 목적지를 향해 나갈 뿐입니다.

고생 끝에 산 정상에 올라 산 아래를 굽어볼 때 느끼는 그 감정입니다.

눈앞에 탁 트인 광경이 펼쳐지는 이유는 정상에 올라온 사람의 시선은 다른 사람의 시선과는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사랑하는 사람이 바로 설 수 있도록 인내를 가지고 지켜보는 마음입니다.

그래서 상대방에게 완전한 자유를 주는 마음입니다.

그리고 사람의 배경이나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모든 사람을 그 자체로 귀하게 여기는 마음입니다.

 

모든 사람을 차별하지 않고 평등하게 대하는 마음, 특권의식이나 선민의식을 없애는 것입니다.

그냥 무덤덤하게 대하는 마음은 아닙니다.

 

자비희(慈悲喜)를 모든 존재들에게 평등하게 내는 마음입니다.

 

이 사무량심으로 무장한 사람은 외풍에 흔들리지 않습니다.

외부에서 일어나는 기쁨과 슬픔, 행복과 불행 속에 쾌적을 유지하는 사람입니다.

 

무에타이 수련은 자, 비, 희, 사의 실천을 통해 기쁘거나 슬프거나, 행복하거나 불행하거나 상관없이, 언제나 쾌적함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사실 어떤 사건이 기쁘고, 슬프고, 혹은 행복하거나 불행한 것은 없습니다.

이런 감정들은 그 사건에 대해 나의 반응일 뿐이니까요.^^

'제왕회관 휴게실 > 삶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리와 토론과 무대뽀  (0) 2019.10.31
왠지 모르겠어  (0) 2019.10.30
내 맘 같지 않구나  (0) 2019.10.26
흔적을 따라서  (0) 2019.10.14
거울에 비친 나는 실제의 나가 아니다.  (0) 2019.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