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여대(男負女戴)
남자는 짐을 등에 지고,
여자는 짐을 머리에 인다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나 재난을 당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다님을 비유한 한자성어입니다.
여기서
'부(負)'는 짐을 등에 진다는 뜻이고,
'대(戴)'는 짐을 머리에 인다는 뜻입니다.
마땅히 살 만한 곳이 없어 온갖 고생을 무릅쓰고 이리저리 거처할 곳을 찾아 안쓰럽게 돌아다니는 모습을 등에 지고 머리에 인다는 비유를 들어 표현한 말입니다.
'남부여대한 피난민의 행렬이 끝도 없이 이어졌다.',
'학정(虐政)에 이기지 못한 백성들이 남부여대한 채 정든 고향을 떠나갔다.'
등이 쓰임의 예입니다.
남부여대보다 뜻이 약하기는 하지만,
아침에는 북방의 진나라에서,
저녁에는 남방의 초나라에서 거처한다는 뜻의
조진모초(朝秦暮楚)도 비슷한 의미의 한자성어입니다.
그 밖에
바람에 불리면서 먹고 이슬을 맞으면서 잔다는 뜻으로,
떠돌아 다니며 고생함을 비유한 풍찬노숙(風餐露宿)도
어렵게 산다는 점에서는 남부여대와 비슷한 한자성어입니다.
'제왕회관 휴게실 > 세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호직필 (0) | 2019.11.22 |
---|---|
어느 서울대학교 합격생의 생활수기 (0) | 2019.11.21 |
역사는 누구의 편에 서는가 (0) | 2019.11.19 |
핸드폰 기종에 관계없이 비밀번호 푸는방법^^ (0) | 2019.11.18 |
일제종족주의 (0) | 2019.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