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왕회관 휴게실/세상이야기

2.28 민주운동

by Ajan Master_Choi 2008. 2. 27.

1960년 2월 28일.
3.15 대선을 앞두고 경상북도 대구시,
현 대구광역시의 8개 고교 학생들이 자유당의 독재와 불의에 항거해 일어난 시위다.

이 시위는 제1공화국 정부 수립 이후 시민들이 민주 개혁을 요구한 최초의 시위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고 한국 민주화 운동의 시발점이 된 사건이라고 볼 수 있다.
해방 정국의 북한에서 일어난 신의주 반공학생의거 같은 사건을 제외하면 한반도 최초의 민주화 운동이라고도 할 수 있다.

1960년 2월 28일.
일요일이었던 그날 수성천변에선 당시 야당인 민주당 부통령 후보인 장면 박사의 선거 연설이 계획되어 있었다.
당시 장면 후보는 같은 당의 대통령 후보였던 조병옥 박사가 사망하면서 거의 대통령 후보급 위상을 가지고 있었는데
심지어 대구 지역은 당시 이승만에 대한 반감이 매우 짙었다.

오늘날 대구 지역은 보수적 색채가 강한 곳이지만 당시 대구는 남한에서 가장 진보적인 동네로 꼽혔다.
이에 대구 지역 학생들이 장면 박사의 유세장에 몰려서 언론의 주목을 받는 것을 우려한 당시 자유당 정부는 이를 방지하고자 대구시내 공립 고등학교에 일요 등교를 지시했는데 당국은 반발에도 불구하고 온갖 핑계로 일요 등교를 강행했다.
당시 일부 학교는 갑자기 임시시험을 친다고 했고 일부는 단체 영화관람이나 토끼사냥을 간다는 핑계로 등교를 종용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자유당의 꼼수를 우리 학생들이 간파했다는 점이었다.
우선 이에 반발한 경북고등학교 학생들이


"학원을 정치도구화 하지 말라!"


라고 소리치며 가두시위를 벌였고 이에 호응한 대구의 다른 고등학교 학생들도 27일 시위를 벌였다.
1960년 2월 27일 오후 대구 동인동 이대우 경북고 학생부 위원장 집에 모인 경북고, 대구고등학교,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학생 8명은 부당한 일요등교 지시에 항의를 하기 위해 시위를 조직했고 후술되어 있는


"백만 학도여! 피가 있거든 우리의 신성한 권리를 위해 서슴지 말고 일어서라!"


는 결의문도 작성했다.
그리고 2월 28일.
학교에 모인 학생들은 당국의 지시에 따르지 않고 자유당의 불의와 부정을 규탄하는 집회를 일으키며 궐기했고,
교사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학교를 뛰쳐나갔다.
오후 1시 학생 800여 명이 반월당, 중앙로를 거쳐 경상북도청, 현 경상감영공원으로 가는 과정에서 다른 학교 학생들이 합류하며 시위대는 커졌고, 도중에 유세장으로 가던 장면 박사를 만났을 땐 만세를 부르기도 했다.
이런 행동에 당시 오림근 경상북도지사와 이강학 치안국장은


"학생들이 북한에 이용당하고 있다"


라며 종북몰이를 시전하기도 했지만, 대다수 시민들은 오히려 구타당하는 학생들을 보고 경찰에게 달려들어 뜯어말리고 박수치는 등 격려했다.
결과적으로 이 시위엔 8개 학교 총 1,200여 명의 학생들이 참여했고 그 중 120여 명이 경찰에 체포되었는데 이 중엔 학생들을 도와주던 교사도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경찰은 당시 시민들의 따가운 눈초리 속에 결국 처벌을 완화해야 했고, 주동자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학생은 석방하였다.
하지만 이후 언론에서도 이 사건을 보도하면서 전국에서 학생들의 시위가 퍼져나가기 시작했다.

결의문

인류 역사이래 이런 강압적이고 횡포한 처사가 있었던고, 근세 우리나라 역사상 이런 야만적이고 폭압적인 일이 그 어디 그 어느 역사책 속에 끼어 있었던가?
오늘은 바야흐로 주위의 공장 연기를 날리지 않고 6일동안 갖가지 삶에 허덕이다 모이고 모인 피로를 풀 날이요,
내일의 삶을 위해 투쟁을 위해 그 정리를 하는 신성한 휴일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 하루의 휴일마저 빼앗길 운명에 처해있다.
우리는 일주일 동안 하루의 휴일을 쉴 권리가 있다.
이것은 억지의 말도 아니고, 꾸민 말도 아니고, 인간의 근세 몇 천년동안 쭉 계속해서 내려온 관습이요,
인간이 생존해 나가기 위한 현명한 조치이다.
그러나 우리는 살기위해 만든 휴일을 어찌 빼앗기리. 
우리는 피로에 쓰러져 죽어야만하나, 생각해 볼지어다.
우리는 배움에 불타는 신성한 각오와 장차 동아[東亞]를 짊어지고 나갈 꿋꿋한 역군이요,
사회 악에 물들지 않는 백합같이 순결한 청춘이요, 학도이다.
우리 백만학도는 지금 이 시각에도 타고르의 시를 잊지 않고 있다.
『그 촛불 다시 한번 켜지는 날 너는 동방의 밝은 빛이 되리라』
큰 꿈을 안고 자라나가는 우리가 현 성인사회의 정치 놀음에 일체 관계할 리도 만무하고 학문 습득에 시달려 그런 시간적인 여유도 없다.
그러나 이번 일을 정치에 관계없이 주위 사회에 자극 받지 않는 책냄새 땀냄새 촛불 꺼멓게 앉은 순결한 이성으로써 우리의 지금까지 배운 지식을 밑바탕으로 하여 일장의 궐기를 하려한다.

백만학도여!
피가 있거든 우리의 신성한 권리를 위하여 서슴지 말고 일어서라,
학도들의 붉은 피는 지금 이 순간에도 뛰놀고 있으며 정의에 배반되는 불의를 쳐부수기 위해서는 이 목숨이 다 할때까지 투쟁하는 것이 우리들의 기백이며, 이러한 행위는 정의감에 입각한 이성의 호소인 것이다.
우리는 민족을 사랑하고 민족을 위하여 누구보다도 눈물을 많이 흘릴 학도요,
조국을 괴뢰가 짓밟으려 하면 조국의 수호신으로 가버릴 학도이다.

이 민족애의 조국애의 피가 끓는 학도의 외침을 들어 주려는가?

우리는 끝까지 이번 처사에 대한 명확한 대답이 있을 때까지 싸우련다.
이 민족의 울분, 순결한 학도의 울분을 어디에 호소해야 하나?
우리는 일치단결하여 피끓는 학도로서 최후의 일각까지 부여된 권리를 수호하기 위하여 싸우련다.

— 2.28민주운동 결의문(1960년)

1960년 2월 28일 낮 12시 55분,
경북고 학생부 위원장 이대우 등이 조회단에 올라 격앙된 목소리로 결의문을 읽자
흥분이 고조된 학생들은 함성을 지르고 손뼉을 쳤다.
반독재의 횃불은 이처럼 대구시에서 처음 불타올랐다.

이 결의문은 경북고 하성일 학생이 작성한 것이라고 2023년 2월 19일, 대구MBC를 통해 보도되었다.

고교생들이 주체이고, 계획적 조직 시위의 운동 요건을 갖춘 학생운동이었다.
우리 역사상 6.10 만세운동, 광주학생항일운동에 이은 의거로 전후 학생운동의 효시가 되기도 했다.
특히 4.19 혁명의 도화선으로 독재정권을 무너뜨리는 결정적인 계기를 만들었으며, 그 이후 민주화운동에도 영향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