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待
수욕정이풍부지 자욕양이친부대
나무는 가만히 있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고
자식은 효를 다하고자 하니 부모는 기다려주지 않네
《한씨외전(韓氏外傳)》에 나오는 구절이다.
風樹之嘆(풍수지탄)
바람과 나무의 탄식이란 말로, 효도를 다 하지 못한 자식의 슬픔
[나무는 조용하고자 하지만 불어오는 바람이 그치지 않는다]는
樹欲靜而風不止(수욕정이풍부지)에서 따온 말로 부모가 살아 있을 때 효도하지 않으면 뒤에 한탄하게 된다는 말이다.
공자가 자기의 뜻을 펴기 위해 이 나라 저 나라로 떠돌고 있을 때였다.
그날도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는데 어디선가 몹시 슬피 우는 소리가 공자의 귀에 들려왔다.
울음소리를 따라가 보니 곡성의 장본인은 皐魚(고어)라는 사람이었다.
공자가 우는 까닭을 물어보았다. 울음을 그친 고어가 입을 열었다.
"저에게는 세가지 한(恨)이 되는 일이 있습니다.
첫째는 공부를 한답시고 집을 떠났다가 고향에 돌아가보니 부모는 이미 세상을 떠났습니다.
둘째는 저의 경륜을 받아들이려는 군주를 어디에서도 만나지 못한 것입니다.
셋째는 서로 속마음을 터놓고 지내던 친구와 사이가 멀어진 것입니다."
고어는 한숨을 쉬고는 다시 말을 이었다.
"아무리 나무가 조용히 있고 싶어도 불어온 바람이 멎지 않으니 뜻대로 되지 않습니다
(樹欲靜而風不止).
마찬가지로 자식이 효도를 다하려고 해도 그때까지 부모는 기다려 주지 않습니다
(子欲養而親不待).
돌아가시고 나면 다시는 뵙지 못하는 것이 부모입니다. 저는 이제 이대로 서서 말라 죽으려고 합니다."
고어의 말이 끝나자 공자는 제자들을 돌아보며 이렇게 말했다.
"이 말을 명심해 두어라. 훈계로 삼을 만하지 않은가"
이날 충격과 함께 깊은 감명을 받은 공자 제자 중 고향으로 돌아가 부모를 섬긴 사람이 열세명이나 되었다.
후 회
언짢아도 남을위해 억지웃음 지으면서
부모님껜 상한마음 몇배불려 화를내고
벗들불러 기분내고 얇은지갑 감추면서
용돈달란 부모님께 지갑감춰 궁상이네
어린이날 기념일에 바쁜열일 제치지만
에미애비 생일에는 예약하고 여행가네
겨울가을 명절날은 해외여행 잡아논날
어쩌다가 부모뵌날 하루해가 길다하네
좋은물건 좋은음식 자식먼저 내가먼저
어려운일 귀찮은일 부모찾아 떠넘기고
젊은육신 피곤함은 풀고가야 정당하나
늙고병든 부모육신 당연하다 외면하네
다정한말 들을세라 끼리끼리 속삭이고
말귀어둬 못듣는다 망녕으로 멸시하네
세월앞에 장사있나 오는백발 어찌막나
백년천년 못사는것 만고진리 왜모르나.
여보시게 자식들아 후회할일 아예마소
제사상의 산해진미 허울좋은 그림의떡
살아실제 정성들인 따뜻한밥 나물한줌
천년묵은 산삼보다 더좋은줄 왜모르오
가신부모 가슴치며 불러봐도 소용없소
이제라도 늦지않네 오늘부터 시작하세
'제왕회관 휴게실 > 삶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형 인간으로 거듭나는 7가지 방법 (0) | 2014.07.02 |
---|---|
첫만남, 상대를 사로 잡는 심리법칙 3가지 (0) | 2014.07.01 |
당신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일곱가지 언어 습관 7가지 (0) | 2014.06.26 |
자식에게 거는 기대가 불행을 만든다 (0) | 2014.06.26 |
행복한 가정이란 (0) | 2014.06.25 |